학술강연
2011년 ~ 현재
연월일 | 성격 | 장소 | 제목/주제 | 강사/주관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
2025. 3. 19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김인후 선생 선양사업의 방향과 제언 | 홍성덕 전주대학교 부총장 | 추향 후 |
2025. 3. 14 | 강연 | 동신대 중앙도서관 | 하서 선생과 필암서원 | 조상열 대동문화재단 대표 | 정기총회 직전 |
하서의 마땅함과 삶의 정성스러움 | 김경호 전남대학교 교수 | ||||
하서 김인후의 시를 통한 전통놀이의 형상화 | 박명희 전남대학교 교수 | ||||
2024.11. 29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인의사상(홍익+사랑)의 부활만이 시대정신이요, 어지러운 한국사회 나침반이다! |
신광조 사실과 과학 시민네트웍 공동대표 | 임시총회 후 |
2024. 9. 20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오늘에 필요한 주인 정신 | 박준영 前 전라남도지사 | 추향 후 |
2024. 4. 5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己所不欲과 勿施於人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서 | 기세규 광주유학대학 교수 | 정기총회 후 |
하서 선생의 天才性과 그 후손들 | 김진웅 前 문정공 도유사 | ||||
2023.10.31 | 주제발표 | 필암서원 집성관 | 세계유산 가치와 활용방안 | 박진재 한국의서원관리센터 기획실장 | 지방활력연대 |
2023.10.26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의 사상과 철학 | 노형욱 前 국토교통부장관 | 추향 후 |
2023. 3.10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인성교육과 서원 | 이배용 국가교육위 위원장 | 춘향 후 |
2022.12.20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규암 송인수의 호남 순력과 하서 김인후 | 김봉곤 원광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21. 11. 30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하서 김인후를 중심으로 한 혼맥의 관계성과 호남학술의 부상 | 김경호 전남대 교수 | 하서도학과 문학 35호 발간 |
하서 선생과 덕계 오견 연구 | 김장수 동양문헌학회장 | ||||
2019. 9.17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현대사회의 갈등 해소 방안에 대하여 | 김동원 전북대 총장 | 추향 후 |
2019. 7.27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서명사천도 연구를 위한 발제 | 김장수 동양문헌학회장 | 하계학술 강연 |
김인후와 기대승의 황룡강변 소재 詩 고찰 | 탁현숙 조선대 교수 | ||||
2019. 3.21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유학전통의 계승과 유림의 역할 | 오세인 前 광주고검 검사장 | 춘향 후 |
2018. 9.22 | 강연 | ˝ | 유교에 대한 이행 | 김평호 나주향교 전교 | 추향 후 |
2018. 4. 5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사상의 사적 맥락에 관한 고찰 | 정환담 초헌관 | 춘향 후 |
2017.12. 4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김인후의 출처 의리와 도학 세계 | 이종범 조선대 교수 | 제17회 정기총회 후 |
2017.10.15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은 해동의 주돈이요 호남의 공자 | 정운염 초헌관 | 추향 후 |
2017. 7. 3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
하서 김인후 선생의 절의와 도학 | 김봉곤 원광대 교수 | 하계학술강연 |
2017. 3. 11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김인후 선생과 지역대학의 역할 | 정병석 전남대 총장 | 춘향 후 |
2016.12.23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공동체는 탁월한 개인보다 지혜롭다 | 강위원 여민동락 공동체대표 | 정기총회 후 |
2016. 7. 8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도학의 원류와 하서 선생 도학시 | 김충호 훈몽재 산장 | 하계학술강연 |
2016. 3.26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 <천명도 제사>의 우리 말 해석에 대한 소견 | 송하경 성균관대 명예교수 | 춘향 후 |
2015.12.17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선생 詩의 천명사상과 그 지향성 | 오종일 전주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15.10. 2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유교의 종교성에 관한 일고찰 | 박광순 학술회원 | 추향 후 |
2015. 4. 1 | 강연 | ˝ | 강화학파 정신과 독립운동 | 이용규 前 뿌리회장 | 춘향 후 |
2014.12.17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의 철학과 復性賦 | 이기동 성균관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14. 9.13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유교와 현대 민주주의 | 서정기 성균관장 | 추향 후 |
2014. 6.25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청백리 思菴 朴淳의 생애와 사상 | 박석무 다산연구소 이사장 | 하계학술강연 |
2014. 3.17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김인후의 생애와 사상 | 이성무 한국학술원 부원장 | 춘향 후 |
2013.12.13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김인후, 그가 만났던 사람들 | 고영진 광주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13. 9.30 | 강론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한중 호남 문화 속의 악록서원과 필암서원 교류 의미와 전망 | 이정식 호남대 공자아카데미 원장 | 추향 후 |
2013. 7. 1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동춘당과 우암의 하서 존숭 | 김문준 건양대 교수 | 하계학술강연 |
2013. 3.22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의 出處는 오늘날 공직자의 귀감 | 이낙연 국회의원 | 춘향 후 |
2012.12.27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사상의 현대사적 재조명 | 정환담 전남대 학장 | 정기총회 후 |
2012.10. 3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에 대한 史官의 평가 | 박병호 필암서원 원장 | 추향 후 |
2012. 7. 4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하서 선생의 시 문학에 대한 후인들의 평가 | 박명희 전남대 호남학 연구원 | 하계학술강연 |
2011.12.20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김인후의 誠敬 사상 | 이애희 강원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11. 9. 9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? | 심우영 前 총무처장관 | 추향 후 |
2011. 7. 6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한국 유학의 현대화를 위한 논점 세 가지 | 김기현 전남대 교수 | 하계학술강연 |
2011. 3.23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선현이 맺어준 아름다운 인연 | 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| 춘향 후 |
2001년 ~ 2010년
연월일 | 성격 | 장소 | 제목/주제 | 강사/주관 | 비고 |
---|---|---|---|---|---|
2010.12.16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선비의 시각으로 파악한 하서 선생 | 오종일 전주대 명예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10. 7. 7 | 강연 | 필암서원 집성관 | 선비정신 확산을 위한 우리의 노력 | 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| 하계학술강연 |
하서 선생의 上李太守書에 대하여 | 金正洙 前울산김씨 대종회장 | ||||
2010. 3.28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도학과 절의 | 金東炫 율곡사상연구원 이사장 | 춘향 후 |
2009.12.23 | 강독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예기 유행편 | 이준영 감사 | 정기총회 후 |
2009. 9.29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학문세계 | 이동준 前 성균관대 유도대학장 | 추향 후 |
2009. 7. 1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崔山斗 선생의 도학정신 | 최대우 전남대 교수 | 하계학술강연 |
2009. 3.13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김인후 선생의 학문 | 安炳周 前 성균관대 교수 | 춘향 후 |
2008.12.23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는 佯狂爲奴論을 왜 썼는가 | 김재수 광주교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8. 9.20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동아시아 사상 기조로서의 道와 하서 사상 | 柳承國 원장 | 추향 후 |
2008. 7.17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문학의 도학적 이해 | 박준규 박사 | 하계학술강연 |
2008. 3.18 | 강론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과 가사문학 | 문경규 前 담양순수 | 춘향 후 |
2007.12.21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조선시대 禮學의 발전과 禮治 | 고영진 광주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7. 4. 3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이 21세기 유림에게 던지는 메시지 | 변온섭 유도회 총본부 회장 | 춘향 후 |
2006.12.13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김인후와 미암 유희춘 | 이종범 조선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6.10. 1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정치인이 우러러보는 하서 선생 | 이중재 상임고문(초헌관) | 추향 후 |
2006. 7. 5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조선 전기의 사림정치와 하서 김인후 | 백승종 서강대 교수 | 하계학술 강연 |
2006. 3.20 | 낭독 강론 |
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復性賦 | 노강 박래호 총무 | 춘향 후 |
2005.12. 8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선생의 中和 사상 | 오종일 전주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5. 9.20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생애와 사상 | 이준범 前 고려대 총장 | 추향 후 |
2005. 6.30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河西 詩의 몇 가지 국면 | 송주호 연세대 교수 | 하계학술강연 |
2005. 3.28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한국 유림이 나아가야 할 길 | 洪一植 前 고려대 총장 | 춘향 후 |
2004.12.10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의 경제사상 | 이헌창 고려대 경제학과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4. 9.25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의 학문적 연원과 성리학적 위치 | 최근덕성균관장 | 추향 후 |
2004. 3. 9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선생이 경연과 세자시강원에서 講한 내용/조선왕조실록 | 박병호 서울대 교수 | 춘향 후 |
2003.12.17 | 강연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河西 詩의 도학적 성격 | 金永峯 연세대 국학연구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3. 9.23 | 강연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경연활동과 군무교육 | 안동교 전남대교수 | 추향 후 |
2003. 7.13 | 강회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현대 한국 유교의 과제 | 금장태 서울대 종교학과 교수 | 하게학술강연 |
2003. 5.28 | 특강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학문과 사상 | 安晋吾산앙회장 | 한시백일장 참가자 |
2003. 3.15 | 강회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문학의 도학적 이해 | 朴焌圭담양가사문학관장 | 춘향 후 |
2002.12.23 | 강회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선생의 선비 정신 | 吳鍾逸 전주대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2. 9. 26 | 강회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천명 사상 | 尹絲淳 고려대 명예교수 | 추향 후 |
2002. 8.22 | 번역 봉독 |
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선생 신도비명 – 우암 송시열 찬 | 朴來鎬 필암서원 집강 | 하계 학술강연 |
2002. 3.10 | 강회 | 필암서원 청절당 | 인종 승하와 하서의 절의 | 金鎭雄문정공파 부도유사 | 춘향 후 |
2001.12.22 | 강회 | 광주향교 유림회관 | 하서 선생의 도학과 절의 | 金基鉉 전북대 윤리학과 교수 | 정기총회 후 |
2001.10.15 | 강회 | 필암서원 청절당 | 우암 선생이 본 하서 선생 | 趙鍾業 충남대 명예교수 | 추향 후 |
2001. 8.22 | 강회 | 필암서원 청절당 | 하서 선생의 생애와 사상 | 安晋吾산앙회장 | 하계학술강연 |
학술지/회보 발간
- 2025.3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42호/하서의 마땅함과 삶의 정성스러움/ 김경호 전남대 교수 외 기고문 3편
- 2024.11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41호/오늘에 필요한 주인정신/ 박준영 前전남도지사 외 기고문 3편
- 2024.3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40호/하서 김선생을 추념하며/ 최영성 한국문화전통대 교수 외 기고문 7편
- 2023.11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9호/선의 근원, 본성 파악을 위한 천명 연구/ 윤사순 고려대 교수 외 기고문 4편
- 2023.3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8호/선비의 삶/ 김용하 시인, 전)광주고등학교장 외 기고문 7편
- 2022.12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7호/노자의 리더십/민영돈 조선대 총장 외 기고문 5편
- 2022.3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6호/하서 김인후의 기묘사림 계승과 신원운동/김봉곤 원광대 연구교수 외 기고문 8편
- 2021.12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5호/하서가 흠모했던 성리학자 김상호는 누구인가?/김재수 필암서원 산앙회 이사장 외 기고문 8편
- 2020.12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4호/우리는 조광조의 개혁정치에서 무엇을 배울 것인가?/ 백승종 한국기술교육대 겸임교수 외 기고문 5편
- 2019.12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3호/중용과 대학에 나타난 윤휴의 사천지학事天之學의 구조와 성격/김유곤 전북대 윤리학과 교수 외 기고문 3편
- 2019.7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2호/하서 김인후의 도학정신 위에 지은 필암서원 세계유산 등재/김재수 산앙회 편집주간 외 기고문 3편
- 2018.12월/하서 도학과 문학 제31호/하서 선생의 왕도시/ 김정수 전 울산김씨 대종회장 외 기고문 3편
- 2017.12.14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30호/도학과 절의와 문장의 선비, 하서 김인후 선생 기행/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외 기고문 2편
- 2017.6.3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9호/하서 선생과 지역대학의 역할/정병석 전남대 총장 외 기고문 3편
- 2016.12.15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8호/하서 김인후의 자식 잃은 슬픔/김세곤 호남역사연구원장 외 기고문 3편
- 2016.7.8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7호/하서 김인후의 <天命圖> 연구논문 목록/김재수 필암서원 산앙회보 편집주간 외 기고문 3편
- 2015.12.17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5호·26호 합병호/하서 선생 시의 천명 사상과 그 지향성/오종일 전주대 명예교수 외 기고문 5편
- 2014.12.17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4호/天命圖 비교 연구: 秋巒, 河西, 退溪/유권종 중앙대 교수 외 기고문 3편
- 2014.6.25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3호/악록서원과 중국 문화/주한민 악록서원 원장외 기고문 4편
- 2013.12.13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2호/선인들과 같이 유학의 정신으로 개혁합시다/정환담 산앙회 이사장외 기고문 4편
- 2013.7.1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1호/하서 시문에 나타나는 인간성 고찰/김장수 동양문헌학회 이사 외 기고문 3편
- 2012.12.2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0호/하서 선생의 천품과 학문에 관한 사관의 평가/박병호 필암서원 원장 외 기고문 2편
- 2012.7.4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9호/하서 김인후 선생 시에 대한 후대인의 비평/박명희 전남대 호남학연구원 외 기고문 2편
- 2011.12.2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8호/하서 김인후의 誠敬 思想/이애희 강원대학교 교수 외 기고문 3편
- 2011.7.4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7호/한국 유학의 현대화를 위한 논점 세 가지/김기현 전남대 교수 외 기고문 2편
- 2010.12.16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6호/하서 김인후 선생 도학 사상의 본령과 현대적 의의/유승국 성균관대 명예교수 외 기고문 4편
- 2010.7.7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5호/선비정신 확산을 위한 우리의 노력/김병일 한국국학진흥원장 외 기고문 2편
- 2009.12.23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4호/하서 선생의 학문적 정통성과 중화의 실현/오종일 전주대학교 교수 외 기고문 1편
- 2009.7.1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3호/하서 선생의 詩友 蔡仲吉은 누구인가?/김재수 광주교대 명예교수 외 기고문 2편
- 2008.12.2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2호/하서는 왜 〈佯狂爲奴論〉을 썼을까?/김재수 광주교대 명예교수 외 기고문 2편
- 2008.7.15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1호/조선시대 禮學의 발전과 禮治/고영진 광주대 교수 외 기고문 2편
- 2007.12.1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10호/하서 김인후 선생의 생애와 交遊 양상/김동하 서강정보대 교수 외 기고문 1편
- 2007.6.2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9호/하서 김인후 선생이 21세기 유림에 던지는 메시지/변온섭 성균관유도회 총본부 회장 외 기고문 1편
- 2006.12.1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8호/하서와 文巖 金振宗의 이념/김장수 산앙회 연구위원 외 기고문 1편
- 2006.6.3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7호/하서 천명도에 나타난 天人觀/김옥연 한남대 교수 외 기고문 1편
- 2005.11.3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6호/하서와 교유했던 인물들/김재수 광주교대 교수 외 기고문 1편
- 2005.6.3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5호/하서의 경제사상/이헌창 고려대 경제학과 외 기고문 2편
- 2004.12.1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4호/大學講義跋文에 대하여/박래호 산앙회 책임연구위원 외 기고문 1편
- 2003.12.1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3호/하서 김인후 선생에 대하여/민우식 산앙회 고문 외 기고문 2편
- 2003.6.2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제2호/현대 한국 유교의 구현 방향/김옥연 한남대 교수 외 기고문 2편
- 2002.12.10./필암서원 산앙회보 창간호/山仰契 회고/변시연 한국고문연구회장 외 기고문 3편